소주천에 이어 대주천을 이루고 삼시충을 제거하기까지도 보통 사람으로서는 상상하기 힘든 과정을 거쳐야 한다. 우리의 일상생활과 스스로의 욕망은 수행을 함에 있어 언제나 마장이 되고 방해가 되기 때문이다.
갖은 역경을 견디고 수행에 정진하여 소주천과 대주천을 완성하고 단전에 결태가 시작되면, 이제 드디어 원신출태을 향한 수행을 시작하게 된다.
대주천을 완성한 후 몸 안의 삼시충을 제거하면, 기(炁)는 다시 단전에서 성숙되어져 결태가 이루어지기 시작한다. 사람은 임신하여 10개월만에 출산하나, 이 호흡의 임신(결태)은 보다 긴 시간과 정진을 필요로 하며, 다시 임맥을 거슬러 머리 위 백회를 통해 출태(出胎)하게 된다. 전문 수행 자라면 10개월이면 족 할 것이다.
이 단전의 결태는 수행자의 원신(元神)이 기나긴 수행의 공덕으로 단전에서 다시 태어나게 된 것이다. 결태에서 출태까지의 기간은 각자의 정진 여부와 수행자의 상태에 따라 차이가 있어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다.
결태의 단계에서 수행자의 조식 수준은 2분 30초 가량이 되어 있을 것이다.
< 원신결태 >
댓글 0
번호 | 제목 | 글쓴이 | 조회 수 |
---|---|---|---|
8 |
무호흡 지식(無呼吸 之息)
![]() | 삼원회 | 1981 |
7 | 벽곡(壁穀) 수행 | 삼원회 | 2625 |
6 | 원신배양(元神培養) | 삼원회 | 1517 |
5 | 정상삼화(頂上三火) | 삼원회 | 1815 |
4 |
원신출태(元神出胎)
[1] ![]() | 삼원회 | 1626 |
3 |
원신부상(元神浮上)
![]() | 삼원회 | 1115 |
» |
원신결태(元神結胎)
![]() | 삼원회 | 1499 |
1 | 원신출태(元神出胎)란 | 삼원회 | 1739 |